1994년, 멕시코 페소화가 대폭락했습니다. 주식과 채권 시장은 바닥을 알 수 없을 정도로 추락했고, 시중 은행들은 줄줄이 파산했죠.<br />'데킬라 효과'로 불린 멕시코 경제 위기는 몇 가지 이유가 중첩돼 나타난 결과였습니다.<br /><br /> 당시 멕시코는 대통령 선거가 있던 해로, 멕시코 정부는 경기 부양을 위해 재정 지출을 크게 확대해 엄청난 재정 적자에 직면했습니다. 또 저금리 기조를 유지하면서 돈을 마구 찍어내 통화량이 급증했죠. 그 와중에 미국이 금리까지 인상하자, 글로벌 자본이 일시에 빠져나갔고, 페소화가 대폭락한 겁니다.<br /><br /> 정권 교체기, 대규모 재정적자, 저금리 기조, 미국의 금리 인상만 보면 현재 우리나라와 많이 비슷하죠.<br /><br /> 우리는 외환보유고도 충분하고, 국가부채도 위험 수준이 아니라지만, 재정적자와 가계부채 증가 속도가 너무 빨라서 급격히 금리가 오를 경우 무리하게 빚을 내 집을 사거나 투자를 한 이들은 아주 위험할 수 있거든요.<br /><br /> 윤석열 당선인도 50조원...